[사설 요약] 과잉진료 주범 실손 '비급여' 개편 더 미뤄선 안돼
2025. 1. 9. 17:37ㆍ정치·경제·사회·문화...
728x90
728x90
SMALL
정부가 비급여 진료와 실손보험 개편을 통해 왜곡된 의료체계를 바로잡고 필수 의료 정상화를 목표로 한 것은 시의적절한 조치로 보입니다. 이 문제는 의료 소비자, 의료계, 보험회사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어 해결하기 쉽지 않지만, 의료체계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주요 쟁점과 해결 방안
- 비급여 진료 통제와 관리급여 도입
- 문제: 비급여 진료는 병원이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로 인해 과잉 진료를 유발하며, 소비자는 실손보험을 통해 이를 쉽게 수용하는 악순환이 발생했습니다.
- 해결 방안: 과잉 진료 우려가 높은 항목을 '관리급여'로 지정하여 환자 부담을 높이고, 건강보험과 비급여 진료의 혼합을 제한하는 것은 합리적인 접근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 소비가 합리화될 수 있습니다.
- 실손보험 구조 개선
- 문제: 소수의 가입자가 실손보험의 대부분 혜택을 독식하면서 다수의 가입자가 높은 보험료 부담을 감수해야 하는 구조적 문제가 존재합니다.
- 해결 방안: 실손보험의 보장 범위를 조정하고, 과잉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차등적 보장 체계 도입이 필요합니다.
- 필수 의료 강화
- 문제: 비급여 진료로 인한 높은 수익은 특정 진료과(정형외과, 안과 등)로 의사들이 몰리는 현상을 초래하여 필수 의료 분야의 인력 부족을 심화시켰습니다.
- 해결 방안: 필수 의료 분야에 대한 보상 체계를 강화하고, 지역별 의사 분포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예상되는 반발과 대응 전략
- 의료계 반발: 비급여 통제로 인해 개원의들의 수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 대응: 의료진이 필수 의료 분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상 강화와 인프라 개선을 추진해야 합니다.
- 소비자 반발: 실손보험 보장 축소 및 환자 부담 증가로 기존 가입자들의 불만이 예상됩니다.
- 대응: 개편 취지와 장기적 이점을 적극 홍보하고, 취약 계층에 대한 보호 장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 선택권 축소 문제: 최신 의료 기술 접근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습니다.
- 대응: 혁신 의료 기술에 대해 별도 평가 체계를 마련하고, 일부 항목은 제한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합니다.
https://www.mk.co.kr/news/editorial/11213997
과잉진료 주범 실손 '비급여' 개편 더 미뤄선 안돼 [사설] - 매일경제
정부가 과잉 진료와 필수 의료 기피의 온상으로 지목된 비급여 진료와 실손보험 개편에 나섰다. 비급여 진료 통제와 실손보험 보장 축소를 통해 왜곡된 진료체계를 정상화하겠다는 것이다. 의
www.mk.co.kr
728x90
320x100
LIST
'정치·경제·사회·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요약] 경제 혹한 길어지는데 난국 풀 리더십이 없다 (3) | 2025.01.09 |
---|---|
[사설 요약] 내수 진작 효과 없는 임시공휴일, 소상공인 ‘한숨’만 커진다 (2) | 2025.01.09 |
설 명절, 즐겁고 알차게 보내는 꿀팁 대방출! (2) | 2025.01.08 |
길거리에 걷다보면 담배꽁초를 버리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되는데, 어떻게 하면 담배꽁초를 거리에 버리지 않는 문화가 정착될 수 있을지... (2) | 2025.01.07 |
주거 안정과 서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는 무엇일까? (1)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