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10. 18:37ㆍ정치·경제·사회·문화...
현대차그룹의 국내 투자 확대와 시사점
현대차그룹이 2024년 국내에 24조 3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한 계획은 여러모로 큰 의미를 가진다. 이는 전년도 투자액보다 19% 증가한 금액으로, 연구개발(R&D), 경상 투자, 그리고 전략 투자에 각각 11조 5000억 원, 12조 원, 8000억 원이 배정되었다. 특히, 이번 투자는 해외를 제외한 국내 한정이라는 점에서 국내 경제 회복과 산업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1. 국내 투자 확대의 필요성
(1) 국내 산업 공동화 방지
최근 한국 기업들의 해외 직접투자 증가로 인해 국내 산업 공동화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2023년 해외 직접투자 규모는 약 634억 달러(약 88조 원)로, 해외로 빠져나가는 자본이 국내로 유입되는 것보다 크게 늘어난 상황이다. 이러한 흐름은 해외 현지 시장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생산 효율성 면에서 유리하지만, 국내 생산 설비 부족과 기술 발전의 정체를 초래할 수 있다.
(2) 내수 시장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국내 투자가 줄어들면 내수 시장의 성장 둔화와 고용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대기업의 국내 투자는 중소기업과의 협력 및 원부자재 공급망 강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산업 생태계 유지에도 필수적이다.
(3) 연구개발 역량 강화
R&D는 미래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이다. 국내 투자 확대는 첨단 기술 개발과 산업 생태계의 고도화를 지원하며,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의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2. 유턴 정책과 투자 환경 조성
(1) 유턴 기업 정책의 부진
2023년 한국으로 복귀한 유턴기업은 20곳에 불과했다. 이는 미국(1800곳 이상)이나 일본(600~700곳)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법인세 인하, 투자 인센티브 제공, 규제 완화 등 실질적인 유턴 지원책이 필요하다.
(2) 친기업적 정책의 필요성
단순히 기업들에게 애국심에 기반한 국내 투자를 요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대신 노동 시장 유연화, 혁신적 규제 완화, 기술 지원 정책 등을 통해 기업들이 자연스럽게 국내 투자를 선택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3. 현대차그룹의 사례에서 배울 점
현대차그룹의 대규모 국내 투자 계획은 국내 대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선례를 제공한다. 이처럼 기업이 해외 시장에서 얻은 수익을 국내 산업과 사회에 재투자한다면, 산업 생태계와 내수 경제 모두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미칠 것이다. 다른 대기업들도 국내외 투자 균형을 고려하며 국내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출처: https://www.fnnews.com/news/202501091915280479
[fn사설] 경제위기 속에 빛나는 현대차의 통큰 국내투자
현대차그룹이 올해 국내에 통 큰 투자를 단행키로 했다. 지난해 투자 집행액인 20조4000억원보다 19% 늘어난 24조3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연구개발(R&D)에 11조5000억원, 경상 투자에 12조원,
www.fnnews.com
'정치·경제·사회·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한국 경제가 받을 수 있는 가장 심각한 영향을 구체적으로 예측한다면 무엇인가요? (1) | 2025.01.11 |
---|---|
[사설 요약] 트럼프스톰, 한미 조선·원전 동맹으로 돌파를 (1) | 2025.01.11 |
[사설 요약] 은행 점포 축소 가속화, 고령층은 힘들다 (1) | 2025.01.10 |
[사설 요약] '10년 후 복지지출 OECD 최고' 세대 전쟁 걱정된다 (1) | 2025.01.10 |
[사설 요약] 경제 혹한 길어지는데 난국 풀 리더십이 없다 (3)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