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20명 중 한 명은 암 경험”… 생존율은 어땠을까?
2024. 12. 27. 19:19ㆍ건강
728x90
728x90
SMALL
안녕하세요. 강남 이반장입니다. 한국 암 통계 주요 요약입니다.
- 암 유병률 및 발병률
- 2022년 암 유병자는 약 258만 명, 국민 20명 중 1명
- 기대수명까지 살 경우, 남성 37.7%, 여성 34.8%가 암에 걸릴 확률이 있음
- 새로 발생한 암 환자는 28만2047명, 전년 대비 소폭 감소(0.05%)
- 코로나19로 감소했던 암 진단 검사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2019년 대비 8.8% 증가
- 암 발생률
- 인구 10만 명당 암 발생률: 287명
- 미국(367명), 영국(308명)보다 낮고, 일본(267명), 중국(202명)보다 높음
- 인구 10만 명당 암 발생률: 287명
- 암 종류별 발생 빈도
- 가장 흔한 암: 갑상선암(12.0%)
- 뒤이어 대장암(11.8%), 폐암(11.5%), 유방암(10.5%), 위암(10.5%)
- 성별로는 남성 폐암, 전립선암, 대장암, 여성 유방암, 갑상선암, 대장암 순
- 가장 흔한 암: 갑상선암(12.0%)
- 암 생존율
- 최근 5년간 암 환자 5년 생존율: 72.9%
- 2001~2005년 54.2% 대비 크게 향상(18.7%p 증가)
- 갑상선암(100.1%), 전립선암(96.4%), 유방암(94.3%) 생존율이 높은 반면,
췌장암(16.5%), 간암(39.4%)은 낮음
- 최근 5년간 암 환자 5년 생존율: 72.9%
- 병기별 생존율 차이
- 암이 장기를 벗어나지 않은 국한 병기 생존율: 92.1%
- 원격전이 병기 생존율: 27.1%
- 췌장암과 간암은 국한 병기에서도 생존율이 각각 46.6%, 62.3%로 상대적으로 낮음
- 검진 및 조기 발견 중요성
- 조기 검진과 진단 기술 발달로 암의 조기 발견이 증가
- 보건당국은 예방 가능한 요인(생활 습관, 정기 검진)을 강조
출처_“우리 국민 20명 중 한 명은 암 경험”… 생존율은 어땠을까?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12/26/2024122602174.html
암 생존율 향상을 위해 개인이 실천할 수 있는 예방 및 관리 방법은 크게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정기 검진, 그리고 진단 이후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아래는 구체적인 실천 방법입니다.
1. 암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암은 상당 부분 생활 습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이를 관리하면 암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건강한 식습관
- 균형 잡힌 식사: 채소, 과일, 통곡물,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합니다.
- 지방과 설탕 섭취 제한: 가공식품과 당분 섭취를 줄입니다.
- 발암 물질 회피: 고온에서 조리된 육류, 훈제 식품, 방부제나 첨가물이 많은 음식을 피합니다.
운동 및 체중 관리
- 규칙적인 운동: 주당 최소 150분의 유산소 운동(걷기, 조깅)과 근력 운동을 병행합니다.
- 적정 체중 유지: 비만은 암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건강한 BMI(18.5~24.9)를 유지합니다.
금연과 금주
- 흡연 금지: 흡연은 폐암, 구강암 등 여러 암의 주요 원인입니다.
- 음주 절제: 하루 한 잔 이하로 제한하거나 가능한 금주합니다.
자외선 차단
-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고 햇볕이 강한 시간대(10~16시)에는 노출을 최소화하여 피부암을 예방합니다.
2. 정기 검진과 조기 발견
암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가 용이하며 생존율이 높아집니다.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 활용
- 만 40세 이상: 위암, 간암, 대장암 등 정기 검진.
- 여성: 유방암(만 40세 이상)과 자궁경부암(만 20세 이상) 검진.
자기 진단과 경고 신호 인지
- 신체 변화(갑작스러운 체중 감소, 피부 변화, 만성 피로 등)에 주의하고, 이상 징후 발견 시 즉각 병원 방문.
3. 진단 이후 적절한 관리
암 진단 후 적절한 치료와 관리는 생존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치료 과정 충실히 따르기
- 의사와 정기적으로 상담하며 치료 계획을 철저히 따릅니다.
- 암에 적합한 식이요법과 재활 프로그램을 병행합니다.
정신적 건강 유지
- 암 치료 과정에서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합니다.
- 명상, 운동, 전문 상담 등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찾습니다.
사후 관리와 정기 검사
- 암 치료 후에도 정기 검진을 통해 재발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728x90
320x100
LIST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통증 및 관련 질환(극상근 증후군, 오십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예방 (1) | 2024.12.28 |
---|---|
겨울철 스포츠하다 주의해야 할 점...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원인과 증상 (2) | 2024.12.28 |
[헬스리서치 요약] '심혈관질환' 급증하는 겨울철…'LDL 콜레스테롤' 관리 방법은? (1) | 2024.12.27 |
제철 과일 감귤의 효능? (4) | 2024.12.16 |
허리디스크 파열(추간판 탈출증)의 원인 (1) | 2024.12.16 |